CMA부터 중개형 ISA까지 (주식계좌 정리)
📌 1. 기본 투자 계좌
- 일반 주식/채권 계좌는 세제 혜택 없음.
- 다양한 상품에 투자 가능하지만, 혜택은 거의 없음.
- 그래서 더 나은 조건의 계좌들이 개발됨 (CMA, ISA 등).

📌 2. CMA (Cash Management Account)
- 증권사 통장 개념. 입출금 가능, 투자도 가능.
- 체크카드 기능도 가능.
- 예치금에 일정 이자 발생 (수시입출금 통장보다 높음).
종류:
- RP형 – 가장 안전. 국채, 은행채 등에 투자. 이율 낮음(0.5~0.2%)
- MMF형 – 펀드처럼 운용. 조금 더 높은 수익률.
- MMW형 – 현재 온라인 가입 불가. 거의 사라진 형태.
📌 3. ISA (Individual Savings Account)
👉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
- 세금 혜택 존재, 투자 범위 넓음 (국내주식, ETF, 펀드 등).
- 해외 주식 직접 투자는 불가, 국내 상장 해외 ETF는 가능.
주요 특징:
- 세제 혜택: 연간 최대 200만원까지 비과세, 초과분 9.9% 과세.
- 납입 한도: 연 2천만원, 최대 1억원까지 누적 가능
- 의무 보유 기간: 최소 3년 이상
- 중도 인출 불가 (일부만 가능)
- 계좌 개설 시점부터 5년 기준으로 세제 혜택 적용됨.
- 수수료: CMA보다 약간 비싸지만, 증권사에 따라 1년 무료 수수료 혜택 제공.
📌 4. ISA vs CMA 비교
항목 | CMA | ISA |
---|---|---|
세금 혜택 | 없음 | 있음 (비과세 200만원, 이후 9.9%) |
수수료 | 낮음 (0.004% 등) | 조금 높음 (보통 0.01%, 1년 무료 등 이벤트 존재) |
입출금 | 자유로움 (통장처럼) | 자유롭지 않음 (중도 인출 제한) |
보유 기간 | 없음 | 최소 3년 |
투자 상품 | 거의 모두 가능 | 해외주식은 직접 X, 국내 ETF O |
📌 5. 연금저축계좌
- 노후 준비용 계좌, 세제 혜택 있음.
- 주식도 일부 거래 가능.
- 연금 형태로 수령해야 혜택 유지됨.
📌 6. 선물/옵션/파생상품
- 고위험 투자 상품.
- 선물: 특정 시점의 가격 예측에 따른 투자.
- 옵션: 특정 가격에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파는 상품.
- 신규 투자자는 의무 교육 이수 필요 (금융교육 등).
📌 7. 기타
- 모바일 증권 나무 등은 CMA와 ISA 통합 계좌 제공.
- ISA는 2023년부터 세제 혜택 확대.
- ISA 해지 시점에 세금 계산, CMA는 거래 시점마다 발생.
✅ 핵심 요약
- CMA: 자유로운 입출금 + 약간의 수익. 통장처럼 사용.
- ISA: 세금 혜택이 핵심. 의무 보유 기간 존재. 투자는 넓게 가능.
- ISA는 장기 투자, CMA는 단기 자금 운용용.
- 연금저축계좌는 장기 노후 대비용, 세제 혜택 있음.
- 파생상품은 위험도 높아 초보자에겐 권장되지 않음.